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309.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생의 맞춤법 인식과 효율적 수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Orthography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High School Students

DOI : 10.35902/URM.2019.57.95
  • 271

이 글의 목적은 국어 맞춤법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맞춤법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국어 교과의 기본적인 목표는 수행적 지식(performative knowledge)보다는 인지적 지식(cognitive knowledge)의 습득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맞춤법 교육은 국어의 모든 내용 영역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도구 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법 교과목이 선택 과목으로 전락한 지금의 학교 현장에서는 대부분 맞춤법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맞춤법 교육의 원래 목표에 배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맞춤법 교육이 가지는 기능적 가치와 학교 현장의 실제를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지하는 맞춤법과 관련된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맞춤법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맞춤법 관련 원리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부산광역시 서구 소재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6명을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이어 개발한 수업 모형을 같은 학교의 실험학급에 적용하고 통제학급과의 상대적 값을 구하여 수업 모형의 효율성을 점검하였다.

In this article, we are trying to develop a real class model for an efficient Korean spelling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a survey of 186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downtown Busan on how they understood the key principles related to Korean spelling customs. The results showed an answer rate of between 14% and 72%, which directly identified the need for spelling education.  We considered the core concept of the class model to be the productivity of phonemic rules and morphemes. The two concepts were applied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spelling. The class model introduced a classic PPP model. After applying the PPP class model to the laboratory class,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overall score average by group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with t=15.49(p=.000). In other words, the overall scor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M=7.53) is higher than the overall score average of the control group (M=4.50).

1. 들어가기

2. 앞선 연구의 검토와 기본 개념

3. 연구 방법 및 결과 분석

4. 수업 모형 및 모형의 효율성

5.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