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30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음성실험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어중 경폐쇄음 교육 방안 모색

A phonetic study on how to teach Korean fortis stops to foreign learners in the word-medial position

DOI : 10.35902/URM.2019.57.125
  • 162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경음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중국인, 몽골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아빠(VC*V)’, ‘압바(VCCV)’, ‘압빠(VCC*V)’ 유형의 단어를 읽게 한 후 한국인들이 어떻게 인지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음성자료를 비교하여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인지실험 결과 한국인들은 ‘아빠(VC*V)’ 유형에서는 경음으로 뿐만 아니라 평음으로도 인지하였지만 ‘압바(VCCV)’, ‘압빠(VCC*V)’ 유형에서는 4개의 토큰을 제외하고 모두 경음으로 인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출실험 결과, ‘아빠(VC*V)’ 유형의 경우에는 한국인의 인지에서 오류를 보인 피험자의 음성자료와 한국인의 음성자료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선행모음의 길이와 VOT는 길게 나타났으나 폐쇄구간의 길이는 현저히 짧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압바(VCCV)’, ‘압빠(VCC*V)’ 유형의 경우에는 한국인이 경음으로 인지한 음성자료와 한국인의 음성자료의 유사점을 비교해 보았다. 이 두 유형으로 조음을 하면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인의 폐쇄구간의 길이와 선행모음의 길이가 유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빠(VC*V)’ 유형으로 조음할 때보다 ‘압바(VCCV)’나 ‘압빠(VCC*V)’ 유형으로 조음할 때 경음으로 조음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중 초성에 위치한 경음을 제대로 조음하지 못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선행자음이 있는 ‘압바(VCCV)’나 ‘압빠(VCC*V)’ 유형을 이용하여 지도한다면 경음의 긴장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경음의 정확한 산출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t with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the tokens of 1) ap*a(VC*V), 2) appa(vccv) and 3) app*a(VCC*V) types produced by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order to find effective and actual ways of teaching Korean fortis stops to foreign learners. Also the authors carried out a production test followed by the comparison of speech data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and native Koreans to elici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ata of the two groups. The perception test showed that Korean listeners perceived ‘ap*a(VC*V)’ type tokens as not only ‘fortis’ but ‘lenis’ and ‘aspirated’ ones. However they mostly perceived ‘appa(vccv)’ and ‘app*a(VCC*V)’ type tokens as ‘fortis’ ones only with 4 exceptions. The ‘ap*a(VC*V)’ type misperceived tokens of foreign learners were compared with Koreans’ equivalent tokens. The tokens of foreign learners showed longer lengths of preceding vowels and VOT but remarkably shorter length of closure section than those of Koreans. For ‘appa(vccv)’ and ‘app*a(VCC*V)’ type tokens Koreans and foreign learners appeared to have similar lengths of closure section and preceding vowels. This result seems to show that foreign learners’ production of ‘appa(vccv)’ and ‘app*a(VCC*V)’ type tokens can lead to higher rate of accuracy of Korean ‘fortis’ stops than that of ‘ap*a(VC*V)’ type tokens.

1. 서론

2. 인지실험

3. 산출실험

4. 교육방안 제언

5.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