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시설 아동의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연구 :아동 행동평가 척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Persistence of Therapy Program Effectiveness in Foster care : Focusing on K-CBCL
- 하은혜(Ha Eun Hye) 신민진(Shin Min Jin)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재활치료과학 제8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5
- 55 - 66 (12 pag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지원사업에 참여 한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업이 종료 된 9개월 후에도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6년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사업에 참여하였던 아동, 청소년 중 120명 을 대상으로 아동 행동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2016년 5월~6월), 사후(2016년 10월~12월), 추후(2017년 9월)평가를 실시하였다. 문제행동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ANOVA(RepeatedMe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미취학과 중․고등학생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추후에 치료효과가 유지되었다. 초등학생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추후에 더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미취학,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모든 집단에서 치료효과가 치료 종결 9개월 후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s sustainable 9 months after project completion fo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childcare and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phases: pre-(2016.5~6), post-(2016.10~12) and follow-up evaluation phases (2017.9) of 120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a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children project in 2016.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repeated mesures ANOVA to identify changes in problem behaviors. Results :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decreased after the post-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evaluation, and the effect of treatment was maintained afterwa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played fewer problem behaviors after the post-evaluation than in the pre-evaluation, and follow-up more.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ffects of therapy ar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urtherm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foster car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