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아동학대 과소신고(underreporting)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학대 사례와 신고관련 특성

Characteristics of under-reported child maltreatment cases

  • 868
147580.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례의 심각성 수준에 비해 신고의도는 낮은 과소신고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과소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학대 사례의 특성과 신고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요인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다층로짓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가장 심각한 사례라고 인식되거나 심각한 학대 행위가 사례에 포함될 때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낮았다. 둘째, 정서학대는 신체학대나 방임에 비해 과소신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학대행위자가 친모인 것에 비해 보육교직원일 때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보육교직원에 비해 계모에 의한 학대행위는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대행위자의 직업이 무직일 때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낮았다. 다섯째, 피해아동이 장애를 갖고 있을 때 아무런 특성이 없는 경우에 비해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낮았다. 그리고 장애가 있는 경우에 비해 반항,충동,공격성의 특징이 있을 때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높았다. 여섯째, 신고에 대한 두려움 수준이 높거나 과거에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을 때 과소신고의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소신고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및 자료에서 고려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maltreatment cases and report-related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 proneness to underreport suspected child maltreatment cases. Methods: We adopted a factorial survey method and we analyzed data using a multi-level logit model. Results: First, cases regarded most severe or included severe maltreatment behaviors were less likely to be underreported. Second, emotional abuse was more likely to be underreported in comparison to physical abuse and neglect. Third,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staff were less likely to be underreported in comparison to birth mothers. On the other hand, stepmothers were more likely to be underreported in comparison to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staff. Fourth, those with no job were less likely to be underreported in comparison to perpetrators with professional jobs. Fifth, those with a disability were less likely to be underreported, while those with neg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more likely to be underreported in comparison with child victims without obvious characteristics. Sixth, higher levels of fear of reporting and past experience of witnessing suspected child maltreatment cases heightened the tendency to underreport.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approaches to decrease underreporting in the context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evention of child maltreatmen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