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593.jpg
학술저널

사이버공간에서 심리사회적요인 및 이용자태도와 온라인 활동을 매개로 한 사이버폭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Psycho-social Factors, User Attitudes and Cyber Violence through Online Activity in the Cyber Space

  • 578

사이버공간은 익명성을 전제하므로, 범죄에 대한 자각이 없이 사이버폭력이 무분별하게 발생할 수 있고 그 피해 또한 예상보다 크다. 사이버폭력은 과거에는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사이버 성폭력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사이버따돌림뿐만 아니라 각종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을 통해 합성사진, 사이버 집단폭력, 신상노출, 사이버 언어폭력, 아이디 도용 등으로 확산되어 사이버폭력의 형태는 다양해졌다. 따라서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주는 근본적인 요인들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학문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사이버공간에서 심리사회적 요인과 이용자 태도가 온라인 활동을 통하여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사이버 환경의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개인의 정서문제와 같은 심리적 측면, 가정 및 학교에서의 관계와 같은 사회적 측면, 그리고 이용자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익명성과 공격성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측면은 온라인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 및 가족관계는 온라인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생활 및 관계는 온라인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익명성은 온라인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공격성은 온라인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활동 정도는 사이버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에서도 사이버 폭력을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해 부모의 역할과 학교 차원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mainly cyber libel or cyber sexual violence in the pas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occurring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cyber bullying, as well as sending synthetic photos, personal exposure, cyber verbal violence, cyber confinement, identity theft, cyber exclus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demand of understanding fundamental factors influencing cyber violences employing underlying theories and scientific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user attitudes and online activities, cyber violence in cyber space. The determinants of psycho-social factors in the study are emotional aspects, family attachment and school life an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user attitude in the study are anonymity and aggression. The summary of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aspect has significant impact on online activity. Second, family has significantly affect online activity. Third, school life has significantly affect online activity. Fourth, anonymity has significantly impact online activity. Fifth, aggress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nline activity. Sixth, online activ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cyber violence.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prevent cyber violence, parental practice and a whole-school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in Korea.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