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593.jpg
학술저널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 51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일 대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240명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과 정적인 상관관계(r=.18, p=.005)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와는 부적인 상관관계(r=-.5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β=.16, p=.002)과 생활스트레스(β=-.58, p<.001)는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유의한 예측인자로, 이들의 설명력은 35.9%였다(F=67.84,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의미 있는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더 나는 대학생활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a local small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1 program. As a result,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r=.18, p=.005)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r=-.58, p<.001). In addition, communication(β=.16, p=.002) and life stress(β=-.5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9%(F=67.84,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communication and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college student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reduce life stress and develop programs that can lead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