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촌지역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기존의 기반시설은 발전하는 농촌실정에 비해 부족하고, 노후화 되어있다. 그 중가장 대표적인 것이 하수관거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A시의 농촌지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하수관거정비사업이 하수처리장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유입하수량의 변화와 대표 오염물질 항목에 대한 하수농도, 유입하수 부하, C/N비 마지막으로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촌지역 개발로 하수 발생량이증가하였으며, 하수관거 개량 및 신설로 하수관거 내 불명수의 유입차단 및 관리가 향상되어 하수처리장내 고농도의 하수 유입으로 하수 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C/N비 증가와 더불어 TN 및 TP 제거효율의 개선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본 연구 결과는 농촌지역의 하수관거 정비사업이 하수처리장의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Recently, rural areas are rapidly developing, while existing infrastructure is inadequate and aging compared to developing rural area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se is the sewer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ural area of Gyeonggi A city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 sewer maintenance business on the operation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analysis items were pollutant treatment efficiencies, the changes of inflow sewage amount, sewage concentration, influnet load, and C / N ratio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wage amoun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development, and the sewage concentration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and the load of the sewage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lso increased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inflow of unidentified water such as infiltration water and influent water in the sewage pipe was improved due to improvement of sewage pipe,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ffected the increase of C / N ratio and the improvement of TN and TP removal ef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ewerage maintenance project in the rural area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 operation of the sewage.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