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2호
- : KCI우수등재
- 2019.05
- 1 - 15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A대 실용음악전공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반영된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는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카이제곱 차이검증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해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Results obtained from path analysis were follows as. First, major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s well as career maturity.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is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Last, indirect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via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areer maturity. The current study showed importance of how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enhance students’ career maturit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연구모형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경향성
2. 상관관계
3. 매개효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