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695.jp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국악 기악 소금수업에서 인지적 도제 학습방법의 적용 효과

Application of Cognitive Apprenticeship Method to Sogeum Classe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n Elementary School

  • 40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악 기악수업에서 인지적 도제 학습방법을 반영한 소금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통해 국악수업 적용을 위한 인지적 도제학습의 배경을 고찰하였고, 도제이론의 교수‧학습 원리를 적용한 국악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학습방안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금 기악수업에서 인지적 도제 학습방법을 직접 적용하여 현장 적합도를 알아보았다. 이에 따른 국악 기악수업에서 인지적 도제 학습방법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적동기를 유발하여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였고, 새로운 음악적 경험 및 국악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으며, 개인 연주능력의 향상과 사회적 상호작용,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Sogeum class that reflected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classes, apply it at schools, and observe its effects. For this, it examined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backgrounds to apply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developed a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model that applie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apprentice theory, and designed a learning method.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ed class was examined by directly applying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method to Sogeum instrumental music classes for sixth grade studen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es induced interest and internal motives for learning, led to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brought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new musical experienc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re effective in improving individual playing skills and social interaction and forming positive learning attitud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인지적 도제학습을 위한 국악 기악 소금수업 설계

4. 자료처리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