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695.jp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서울특별시 소재 일반고등학교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제 분석

An Analysis of Arts Curriculum of High Schools in Seoul

  • 226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반고등학교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188개의 일반고등학교 중 2018학년도 입학생의 3개년 교육과정 편제를 공시한 157개교이다. 공시된 교육과정 편제를 수합하여 학년별 예술교과 편제 현황, 학교별 예술교과 이수단위, 예술교과 과목 개설 현황, 예술과목 과목 개설 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술교과가 1, 2, 3학년 모든 학년에 편제되어 있는 경우는 78개교(49.6%)이고, 79개교 51.4%)에는 한학년 혹은 두 학년에만 편제되어 있다. 전체 157개교 중 49개교(31.2%)는 학교지정으로만 예술교과를 편제하였고, 학생선택이 가능한 108개 중에서도 이수단위를 지정한 학교가 41개교(26.1%)로, 총 90개교(57.3%)에서 학생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ts curriculum of high schools in Seoul. Of 188 general high schools, 157 schools, which publically announced the three-year curriculum of 2018 class, were selected. The status of arts curriculum by grade, the number of units of arts curriculum by school, and the opening of arts subj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78 schools (49.6%) in which the arts curriculum is organiz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and 79 (51.4%) are organized in only one grade or two grades. 49 out of 157 schools (31.2%) organized arts subjects designated by school. Among 108 schools where students are allowed to choose arts subjects, 41 schools (26.1%) fixed the arts credits that students can take. Therefore, of 157 schools, 90 schools have limitation for students in selecting the arts subjec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과정 내용 선정

2. 교육과정 내용 조직

3. 2015 개정 교육과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

2.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