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비교 –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Comparison on the Presentation Methods of Competences in the Music Curriculum - With a focus on South Korea, France, Finland, and Australia -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2호
- : KCI우수등재
- 2019.05
- 61 - 84 (24 pages)
본 연구는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의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의 음악과 교육과정 및 개정 관련 문헌과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음악 교과 역량과 음악과 교육과정 전체의 관계를 명료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연계 방식을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음악 교과 역량이 음악 교과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ways that competences were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in South Korea, France, Finland, and Australia and find implications for revision music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literature and materials about music curriculums and principles for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France, Finland and Australia.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relations between competences of music subject and the entire music curriculum clearly; second, the outlines and documents of the music curriculum should provide the ways that the key competences are connected with the competences in the music subject; and finally, competences in music subject should be developed in a form that can show characteristics of music curriculum.
Ⅰ. 서론
Ⅱ.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1. 한국
2. 프랑스
3. 핀란드
4. 호주
Ⅲ.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일반역량
2.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음악 교과 역량
3. 일반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연계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