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저널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인식과 감정노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 s Profess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Labor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제15권 제1호
- 2018.05
- 35 - 56 (22 pages)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인식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 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아.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인식 수준은 3.21점(sd=.26)으로 중앙값 3점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감정노동은 3.93점(sd=.54)으로 중앙값 3점 보다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명의식(β=-.37,p<.001), 자체규제(β=-.30, p<.001), 월소득(β=.30, p<.001), 자율성(β=-.24, p<.01), 사회복지근무형태(β=.24, p<.01), 직무만족(β=.19, p<.05)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8.08, P<.001). 즉, 소명의식이 낮을수록, 자체규제가 낮을수록 월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율성이 낮을수록 감정노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간사회복지사인 경우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감정노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의 결과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