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7984.jpg
KCI등재 학술저널

뇌병변장애에서 인지평가도구의 사용현황과 향후 방향: 성인 작업치료사 대상으로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 Brain lesion disorder :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 57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뇌병변 환자에서 중재접근법에 따른 인지평가도구의 사용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지평가도구와 인지재활 접근법을 조사하기 위해 2019년 4월 11일부터 4월 25일까지 2주 동안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뇌병변 환자에게 주로 사용하는 인지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이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은 MVPT, LOTCA 순이었다. MMSE 평가도구 사용에 따른 접근법은 적응적 접근 22명, 교정적 접근 20명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들이 인지평가도구를 선택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 인 문항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었고, 그 다음은 “병원에 구비된 평가도구의 제한”이었다.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제한점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문항은 “정확한 인지수준을 파악하기 어렵다”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제한된 평가시간 및 임상 환경 내 평가도구의 제한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적용하고 자 하는 중재접근법에 적합한 인지평가도구의 선택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질환별 및 연령별 인지평가도구의 사용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다 면 인지재활 영역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about the status of use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the approach is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is presented.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wo weeks from April 11 to April 25, 2019 to investigate cognitive assessment tools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es used by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Result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the most popular cognitive tool for brain lesions, it was followed by MVPT and LOTCA. The most commonly used post-evaluation intervention approach from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found to have an adaptive approach of 22 and a remedial approach of 20. The question most frequently answer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s the reason for choosing cognitive assessment tools was because they are typically used a lot, followed by restrictions on assessment tools equipped in hospital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question as a limitation of the assessment tool used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evel of cognition. Conclusion : The study found that due to limited assessment time and limitations of assessment tool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t was difficult to select the appropriate cognitive assessment tool suitable for the approach to be applied in practice. In future studies, the use and suitability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by disease and age,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ll be beneficial to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area.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