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호주 Pearson 출판사의 7-10학년 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ssment Task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ustralian Pearson English Textbooks and Teacher Companions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교육논총
- 제39권 제2호
-
2019.06235 - 259 (25 pages)
- 954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가 깊고, ‘리터러시’의 변화와 관련된 이론적 성과를 핵심역량 및 모국어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호주의 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사례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평가 방법의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 수업에서 교과서의 역할이 중요한 우리나라의 학교 현실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실제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에 따른 평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호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활발히 활용되고 있고, 호주 교육출판사협회의 우수 추천도서로 선정된 우수 교과서인 호주 피어슨(Pearson) 출판사의 7-10학년 ‘영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평가 과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단원의 학년별 구성,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단원 학습의 구조와 평가 과제의 구성, 단원 학습의 내용과 평가 과제의 연관성, 학습을 위한 준비, 학습 내용의 이해와 적용, 총괄 평가 등의 평가 과제의 성격과 구성, 평가 과제의 성격에 따른 개인 과제와 협력 과제의 구성 등에 관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호주 Pearson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평가 과제는 미디어에 대한 본질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비판적 분석, 평가, 창조 등 미디어 리터러시의 목표에 충실한 학습을 위한 평가와 총괄 평가가 학습 내용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개인 과제 및 협력 과제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다루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은 물론, 학교 현장의 수행 평가 개발과 관련 후속 연구에 이론적, 실천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tasks for media literacy learning in Pearson Australian English 7-10 Textbooks and Teacher Companions.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literacy assessment and their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methods of assessment of media literacy in the South Korean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to be implemented in Korean classrooms, where the role of textbooks has been significant, concrete examples for the assessment tasks of media literacy in school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need to be explored. Pearson English 7-10 were Highly recommended in the category of Student Resource at the 2016 Educational Publishing Association Awards.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assessment tasks, in terms of the unit structure of the media literacy learning, the curriculum links, the structure of assessment task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unit and the assessment task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ssessment tasks of the Pearson English Textbooks and Teacher Companions are focused on critical understanding, analysis, evaluation, and creation of the media. The assessment is conducted by individual, pair, or group tasks, depending on its purpos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s for media literacy learning, particularly in terms of designing assessment task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