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23.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아동의 정서조절 매개효과 검증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on Children’s Self-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567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 아동의 정서조절,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아동의 정서조절이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66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SRMR, RMSEA, CFI, TLI.를 통해 모델부합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에 직접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였다. 넷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교사의 정서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이 아동의 자아탄력성 증진에 있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며 부모-자녀 친밀·지지 관계와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아동의 정서조절과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역량 증진의 기본이 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 children’s self-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on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9 of the 5th and the 6th grade children in the region of D c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ffected directly on children’s self-resilience. Second,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ffected directly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mediated between parents-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the children’s self-resilience. Parent-children intimacy-support relationship, teacher’s emotional support are the basis for promoting individual competence, such a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