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23.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남녀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Male and Female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Mediation by Self-Acceptance

  • 827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7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수용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우울 증상은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 청소년들보다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자기수용을 통해 우울 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자기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즉, 부모가 자녀를 심리적으로 통제한다면 남녀 청소년들의 자기수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우울 증상을 더 자주 경험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가 자녀를 심리적으로 통제하지 않는 것이 청소년의 자기수용 능력을 길러주고, 우울 증상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relation to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 total of 37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participated. The factor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elf-acceptance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 s correlations,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elf-accept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However, the average level of depressive symptom was higher in female adolescents than in male adolescents. Seco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e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indirectly via self-acceptanc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a self-acceptance. The mediation model was invariant across gen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can be lowered by reduc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nhancing adolescents self-accepta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