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반도 출토 선사시대 흑요석 원산지 연구

Source Identification Analysis of Obsidian Unearthed from the Korean Peninsula

  • 658

한반도 출토 흑요석의 원산지를 알아보기 위해 38개 유적에서 출토된 204점을 분석하였다. 구석기시대의 5개 유적과 신석기시대의 33개 유적의 출토품이 대상이다. 흑요석 분석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LA-ICP-M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스펙트럼 형상분석법(SSA)을 이용하여 흑요석 산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사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 204점을 분석하여, 98% 이상의 산지를 규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백두산 흑요석은 3종류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새로운 백두산 계열인 흑요석 2종류(PNK1 variant, PNK4)를 처음으로 찾아내었다. 그 결과로 백두산 흑요석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한반도에서는 구석기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된 흑요석은 PNK1이었다. 그다음은 PNK2이었다. 중부지역은 시기와 상관없이 모두 백두산 흑요석을 사용하여 석기를 제작하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 한반도 동남부지역에서는 일본산 흑요석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울산 신화리와 사천 이금동의 흑요석은 일본 규슈의 고시타케산으로 판명되었다. 신석기시대에 남해안 지역의 패총유적이나 도서(島嶼) 지역의 유적에서는 일본의 K/H산 흑요석을 주로 이용하였다. 신석기시대에만 출토된요도히메산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유적 중 흑요석이출토된 유적의 사람들은 어로를 생계로 하였던 사람들이었다. 구석기시대의 흑요석제 석기 중에는 흑요석이 아닌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시대 사람들이 흑요석과유사한 석재로 석기를 만들었음도 확인되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형성된 백두산 흑요석의 길은 한반도전역에 걸쳐 퍼져 있었다. 특히 신석기시대에도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에 백두산 흑요석이 출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두산 흑요석의 길’은 두 시대에 걸쳐3만 년 이상 동안 유지되었다.

A total number of 204 museum archived obsidian artifacts were analyzed for source identification. These were from unearth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he Spectral Shape Analysis method, a very efficient method of origin analysis, was used properly in this study and 98% of the whole analyzed obsidian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The following are the note-worthy results from this study. 1. PNK1 obsidians were most widely used in the Paleolithic Age, followed by PNK2. A different type of PNK1 obsidian (PNK1-variant) was found, which has significantl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a and Sr compared to the other examples of PNK1. 2. PNK1 obsidian has a number of variations, according to the ratio of barium or strontium contained. Obsidian tools unearthed from the central and northea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originated from Mt. Baekdusan (Paekdusan) throughout all periods. Obsidian tools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have only been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3. Two more new types of Mt. Baekdusan obsidian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namely, PNK1-variant and PNK4. This finding of new Mt. Baekdusan obsidians w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e magmatic evolution of the Mt. Baekdusan volcano. 4. The obsidian artifact consisting of a tanged point from the Paleolithic site of Shinhwari at Ulju was identified as having originated from Koshidake/ Hariojima, Kyushu, Japan. This obsidian artifact was excavated from a stratum with definite chronological data, and is important for the study of sea-level change in the Paleolithic Age. 5. Baekdusan obsidians were utilized continuously from the Upper Paleolithic Age to the Neolithic Age, and all of the obsidia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dentified as having derived from Mt. Baekdusan. 6. The distribution routes of obsidian, the so-called ‘Mt. Baekdusan Obsidian Roads’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continued to be used until the Neolithic Age, for 30 or 40 thousand years. 7. According to the analysis, Mt. Baekdusan obsidian was not present in the islands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Ⅰ. 서론

Ⅱ. 측정과 방법

Ⅲ. 유적 특징과 산지 분석

Ⅳ. 흑요석 분석의 의의

Ⅴ. 정리와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