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16.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살위험 병사의 생명존중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ife-Respec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uicide Risk Soldiers

  • 181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존중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살위험 병사의 사회적지지,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효과 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참가신청자 30명을 실험집단(10명), 비교집단(10명), 통제집단(10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분석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지지, 자아정체성, 대인관계가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병사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 부분을 다루는 관련 군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군 생활 만족감과 군 생활을 적응하는데 있어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ctive counseling programs on the social support,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oldiers at risk of suicide. To verify the effects, a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 covariate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check the effects and continuity of the post-test. Thirt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wirelessly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the comparative group (10) and the control group (10) respectively.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involved in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can be said to be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demonstrating the satisfaction of military life and the availability of military life in adapting to military life at the relevant military rehabilitation practice site, which deals with soldier conflic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mid various rapidly changing limitat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