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How It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Self-Esteem
- 이용수 199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A total of 450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based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Results: First,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showed more negativ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teachers’self-esteem. In other words, when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their self-esteem was lower, which led to increased negative teacher-child interaction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y which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
-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만 3세 유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학령 전이기 유아의 학교준비도 예측요인: 만 1세 영아기 애착안정성과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근로여건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사의 웰빙과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아동복지법을 기준으로
- 유아 음악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유아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먹거리를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4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