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17.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을 위한 과제기반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on Functional Recovery of the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512

목적: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과제기반 거울치료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외 및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 ScienceDirect, RISS와 KISS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국외문헌과 3개의 국내 문헌을 선정하였다. 결과: 12편의 연구에서 사용한 과제의 수는 1~18개로 다양하였으며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 경직,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다. 과제기반 거울치료를 제공한 12편의 모든 논문에서 상지의 기능향상에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8편의 two group controlled study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평가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상지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이 보고되었다. 결론: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과제기반 거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과제의 종류나, 빈도에 대한 정형화된 프로토콜을 위해 많은 수의 모집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및 장기간의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on functional recovery of the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9 using PubMed,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 ScienceDirect, RISS, and KISS. The main search terms were “task-based,” “task-oriented,” “task-specific,” and “mirror therapy”. Based on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9 foreign and 3 Korean papers were selected. Results: Of the 425 articles found, 12 were reviewed. The number of tasks used in the study varied from 1 to 18, and upper limb function, spastic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 tool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upper extremity in all 12 studies. Furthermore, in all two-group controlled studies,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limb fun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on stroke patien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a large number of populations, and long-term follow-up studies on a formal protocol regarding the type of task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ask-based mirror therapy are also need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