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48.jpg
KCI등재 학술저널

TA수련감독 과정 중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Autoethnography of self culture about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through the theory of transactional analysis in the training supervision course

  • 130

본 연구는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상담영역 수련감독과정 중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이다. 수련기간 동안 가장 큰 이슈는 수련과제인 학회지 논문 게재와 박사학위논문을 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본 연구는 자기성찰을 통해 두려움의 원인을 교류분석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심리내적 변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였다. 연구자는 ‘존재하지 마라’라는 금지명령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적 결정으로 ‘열심히 해라, 서둘러라, 완벽해라’라는 부모명령을 따르기로 복합결정 하였고 결국 내면의 드라이버로 채택되어 이에 ?i기며 힘들게 살아왔음을 명확히 자각하였다. 논문을 쓰는 것에 대한 부담과 드라이버에 쫓길수록 축소각본에 반복적으로 빠져들었고 무기력과 회피만을 반복하며 우울한 시간을 보냈다. 이후 TA수련감독과정에서 자기성찰 훈련을 하면서 어린 시절에 결정했던 ‘존재하지 마라’라는 금지명령을 가지게 된 원인을 알게 되었다. 그 원인은 어머니의 돌봄 부재 외에도 공포감을 느낄 만큼 권위적이었던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연결, 재연되면서 TA수련감독자로서 성장을 방해하고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TA이론을 중심으로 자기성찰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고, 둘째, 연구자의 심층적 변화를 도출해 나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기술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A수련감독자로서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TA를 중심으로 한 자기성찰 훈련이 지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of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during the training supervision course in a counseling area of the Korean 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Association. The biggest issue during this training period was the fear of writing an essay and a doctoral dissertation which were the assignments for training.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 of fear through self-reflection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internal change centered on the theory of transactional analysis.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she had to made composite decision to follow her parent’s orders such as “work hard”, “hurry up”, and “be perfect” as an alternative decision to escape the prohibition order like “do not exist”, which eventually became an internal driver to make her live a tough life. The more she was pressed for the burden of writing a paper and the driver, the more she repeatedly fell into the reduction scenario and spent a depressed time repeating only helplessness and avoidance. However, she got to know during self-reflection that the reason she got an interdict(prohibition order) like “don’t exist” hindered him/her growth as a TA training supervisor, by being connected with the life that she couldn’t expect her mother’s love because of the absence of mother’s caring, and the fear of her father who was too boossy enough to make her feel a sensation of fear, and by being reen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based on TA theory, and the process of deriving the in-depth change of researcher as a self-cultural technolog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