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061.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련사 예수시왕생칠재의 범맥과 예술적 세계

The chanting later lineage and the performing art of Yesujae ritual in Cheongyeon Temple

  • 18

예로부터 왕실 비보를 위한 많은 재의식을 해 왔던 왕십리 안정사(청련사)는 도시 개발로 인하여 양주시 개명산 자락의 넓은 도량으로 옮겨와 의례 전승의 새로운 활기를 펼치고 있다. 경산제 범맥 중에 동교 계열이었던 안정사의 범맥은 해능스님(1892~1979)으로부터 현재 청련사의 원로 해경, 지홍스님, 중진 벽산, 심곡스님, 어장 상진스님으로 이어지고 있어 전통 계승의 기반이 확실하다. 청련사예수재는 바깥채비인 짓소리 ․ 홑소리, 안채비의 다양한 율조가 수반된다. 이러한 의례 율조 중 특히 부각되는 것은 한국의 조사들에 의해 쓰여진 의문을 한국적 선율로 짓는 향풍범패이다. 방대한 설단의 수륙재나 영산작법의 장엄한 범패가 중심이 되는 영산재와 달리 예수재는 한국화된 재의식으로 재자 자신을 위한 정토발원과 성취를 위한 범패가 중요하다. 청련사 어장 상진스님은 편안하고 원만한 성음을 지니고 있어 장엄염불과 축원 화청, 회심곡 등의 향풍 범패와 특히 잘 어울린다. 향풍 범패로 분류되는 이들 율조는 일자일음의 장단 절주여서 대중과의 소통이 쉽고, 한국전통음악과의 관련성에도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청련사예수재 악사들의 음악을 지휘하는 위재영은 중요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로써 벽응스님, 상진스님으로 이어지는 호적가락을 전수 받아 제자들과 함께 예수재 음악에 참여하고 있다. 범패와 작법무, 법구 타주까지 청련사예수시왕생칠재에 수반되는 모든 재원은 자체적 교육기관인 안정불교대학을 통하여 양성된다. 의례 전반에 걸쳐 강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전승 기반의 확립 뿐 아니라 의례 악가무의 완성도에 있어서도 높이 평가할만하다.

Anjeong(Cheongyeon) temple in Wangsimli, Seoul, which was an assistant temple of the royal Josun court, has long carried out rituals and prayer services for the wellbeing of both royal and ordinary people. When the wangsimli area was urbanized, the temple was relocated to the foot of Gaemyeong mountain in Yangju-si, Gyeonggi-province, near Seoul. Thereafter, the temple became an expanded seminary for Buddhist rituals. Ritual performances retained greater fealty to tradition, being held in apter conditions for passing down. The chanting master Ven Sangjin passed on the tradition of the later lineage of the Anjeong temple, training and educating his disciples. The special point in the Yesujae ritual, during which prayers are offered seeking the accession to heaven of Cheongyeon temple members, is the Hyangpung Beompae, Korean native style Buddhist chants. The text of the chants were written by a venerated Korean priest, and whilst the melody is syllabic, the rhythm is of a traditional Korean rhythmic pattern, unlike the Dangpung Beompae with its Chinese melisma melody. The chanting master Ven Sangjin of Cheongnyeonsa is especially renowned for Hyangpung Beompae, such as the Jangeom Yeombul, Chukwon Hoacheong, and Hoisimgok. His speciality appeals because the chants are popular to Korean Buddhists. Recalling his mentor master’s words, that the Hangpung Beompa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he Silla Dynasty, thus making it an intrinsic Korean Buddhist song, he has trained in it constantly. Ven Sangjin also learned the Korean trumpet, the Hojeok, from Ven Byeokeung (the 50th cultural asset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and then passed it down to musician Wijaeyeong, head of the band of Cheongyeon temple. All members who sing, recite, dance, or play musical instruments are trained through the Anjeong Buddhist Art Institute, established in Cheongyeon temple. It is very important as a basic point of agreement that training, education, and succession make near perfect the ritual performance.

Ⅰ. 머리말

Ⅱ. 청련사예수재 어산단의 전통과 계보

Ⅲ. 청련사예수재 악가무의 내용과 특징

Ⅳ. 청련사예수재 악가무의 가치와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