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110.jpg
학술저널

일부 대학생들의 계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Maj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 5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계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정확한 지식과 구강보건행태 향상 등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건계열과 일반계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전체적으로 보건계열이 일반계열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보건계열과 일반계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구강보건관리의 관심도, 스켈링 경험, 칫솔질 교육, 구강관리용품인 치실, 혀클리너의 사용에서 보건계열은 일반계열에 비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과 일반계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와의 상관관계는 보건계열이 일반계열에 비해 구강보건관심도, 스켈링 경험, 칫솔질 교육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관리용품 사용여부도 보건계열이 일반계열에 비해 치실, 혀클리너, 치간칫솔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도구 개발과 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on oral health education, such as accurate knowledge and improvement of oral health behavior, by examining oral health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university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of health-related major was higher than the health-unrelated, and oral health behaviors as oral health interest tooth brushing, dental floss, tongue cleaner of health-related major were higher than health-unrelated major group. In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major and health-unrelated of behaviors, oral health interest, scaling experience and tooth brushing education, of health-related major group were higher incidence.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dental floss tongue cleaner and interdental toothbrushes were m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ealth-unrelated. Therefore, a lot of research of subject for university students and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tools that can improv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is necessary.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