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306.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사회 노인의 삼킴장애 실태 및 삼킴교육 후 삼킴관련 삶의 질 변화: 강동구 지역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s Swallowing Disorder and Changes in Quality of Life Related to Swallowing after Swallowing Education in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round the Gangdong-gu area

  • 31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삼킴장애 위험성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삼킴교육을 시행 하였을 때 교육 전 후의 삼킴관련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강동구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장애 위험성 평가를 거쳐 삼킴장애 위험성이 있는 노인 98명을 대상으로 한달 간 주1회 총4회에 거쳐 삼킴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연하관련 삶의 질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삼킴교육 전, 후의 삼킴관련 삶의 질 평가를 시행하였다. 삼킴관련 삶의 질 변화 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3.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삼킴교육 후 대상자의 삼킴기능이 향상되었고 삼킴관련 삶의 질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그러나 삼킴관련 삶의 질 항목 중 음식선택과 정신건강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삼킴장애 위험성이 있는 노인에게 삼킴교육 시 삼킴관련 삶의 질 및 삼킴관련 위험성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삼킴장애 위험성 평가 및 교육이 필요하며, 향 후 지역사회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삼킴장애 예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ho are at risk of swallowing disorder in communit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98 elderly with a risk of swallowing disorder after assessing the risk of swallowing disability in Gangdong-gu, Seoul, and conducted a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swallowing education using the quality of life assessment tool. The SPSS 23.0 version program was us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wallowing. Result: After swallowing education, the swallowing ability of the subjects was improved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wallow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choice and mental health items among items related to swallowing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wallowing related quality of life and risk of swallowing in swallowing education among the elderly who had risk of swallowing disord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in community, swallowing risk assessment and education are needed and various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swallowing disorder in community elderly people in the future are also need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