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ood Art Therapy Program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273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한 두 곳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 중 자기표현이 서투르고 사회성이 부족한 1∼3학년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 각 8 명씩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회당 80분씩, 총 10회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 2018년 1월 4 일부터 2월 13일까지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 척도와 사회성 척 도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n-Whitney 검정과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참여하지 않은 아동보다 자기표현과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의 과정에서 나타난 참여 아동들의 보고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에 기초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 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질적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 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Art Therapy program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6 childre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were from low-income families that were using services at two local children s centers in P City, and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poor self-expression and a lack of sociality. These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 group of eight and a control group of eight. A program was devised, consisting of a total of ten 80-minute sessions with two sessions per week.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from January 4 to February 13, 2018.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inventories were used for measurement purpose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in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compared with the children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program s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were put to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ports made by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program and the investigator s observations. The program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Food Art Therapy program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