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476.jpg
학술저널

아버지 양육에 따른 자녀의 영향 : 2000-2016년 연구동향 분석

The Influence of Children on Father’s Parenting : Research Trend Analysis from 2000 to 2016

  • 451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에 관련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를 기준으로 하여 2000-2016년에 등재된 국내학술지 논문 67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들을 기준으로 2000년대 이후 연구동향과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세부적인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매년 논문의 편 수, 연구의 대상(자녀), 자녀의 변인과 아버지의 변인, 연구 설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아버지 양육 관련 연구는 2013년에 12편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으며, 67편의 논문 중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반면 자녀의 변인에 대한 연구는 시대별로 다양한 주제들이 연구되었는데, 그 중 대인관계관련 변인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 많이 연구된 대상은 청년기였다. 마지막으로 67편의 논문 중, 패널 연구 1편을 제외한 66편의 연구가 양적연구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아버지의 양육에 따른 자녀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보다 다양한 대상과 다양한 변인 그리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cent trend of researches on father s parenting. Methods: For this, the 67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registered from 2000 to 2016 were selected according to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 and we, making use of these journals, checked the tre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 that is, the number of papers concerned each year, father variables and children variables. Results: The research on father s parenting had been studied the most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is subject was 12 in 2013, and father s sociodemographic factor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67 papers. Meanwhile, as for the research on children variables, various subjects had been studied from period to period. And of th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variables had been studied the most. Children were the commonest subject of the researches in the papers concerned, and adolescence was the second commonest one.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except for one of 67 papers, the researches in 66 papers were conducted on a quantitative basis.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father s parenting on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on a wider variety of subjects, different variants and in different method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