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Foreign Student in Korea

  • 1,780

본 연구는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요인을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재한 외국인 유학생 관련 논문이 나오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 학회지에 게재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종속 변인으로 한 선행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학술정보서비스의 온라인 검색을 수행한 결과, 총 379편이 검색되었고, 최종 42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어수준, 진로확실성, 건강수준, 학년, 학생신분, 성적, 용돈, 거주형태의 변수들이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 후 진로가 불확실할수록,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학생 신분이 불안정할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용돈이 부족할수록, 거주형태가 불안정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문화적응스트레스 구성 하위 변인들 중 향수병, 지각된 차별감. 문화충격, 두려움, 지각된 적대감, 기타 스트레스, 지각된 적대감 순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유학생의 원만한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근거중심의 실무프로그램 개발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reviewed of researches on acculturaltive stress among foreign student in Korea. The targets of systematic review were researche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ublished out from 2000 to 2018. Totally 379 articles were founded through online search activities and 42 articles were analyzed.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lower the conditions is such as the Korean language skill, the uncertain plan after school, poor health, lower grade, the unstable student status(Language school, under graduate, graduates school), lower GPA(than 3.5), lack of pocket money, unstable residence pattern (dormitory, rented room, others), the more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ey got. The study showed that the more the homesick, perceived discrimination, culture shock, fear, perceived hostility, and other stress they received, the higher cultural adaptation stress migrant students go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연구 함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