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송경험탈북여성들의 탈북과정 및 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The Escape and Adaptation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on a Life History Study

  • 591

본 연구는 북송경험탈북여성들이 북한사회에서 사회침체와 경제악화로 인간의 기본욕구조차 해결되지 않아 탈북과 북송이라는 사건경험 속에서 개인적인 생존 극복경험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북송경험탈북여성 8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질적 연구 중 생애사 분석으로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대범주, 18개의 중범주, 4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는데, 4개의 대범주는 북송경험여성들의 북한사회에서의 기본욕구 해결을 위한 경험과, 중국에서의 타향살이 경험, 북송과정에서의 감옥소 인권유린 경험, 남한사회의 정착 경험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개념어는 삶의 총체적인 맥락에서 북송경험탈북여성들의 현재 잔존해 있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과 장애가 남한사회의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원조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복지서비스 및 정책 개발에 있어서 선별적인 지원 사업을 펼칠 수 있는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North Korean society through their experience of survival i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in order to solve human basic needs through social recession and economic deterioration. And to propose a practical perspective that can help them to settle in a socially stable mann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data, four categories 1 were divided into experience of solving the basic needs of North Korean society, experience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experience of human rights abuse in the North Korean prison by North Song, Category 2, 48 subcategories, and 75 concept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to support them based on the result that they are affected by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ffering they have gained through their collective contextual experience, And can provide important supporting data in policy development.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