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64.jpg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기악실기 교과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inked Program between an Instrumental Practice Curriculum and an Extra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147

본 논문은 기악실기 교과목 교육과정 실태와 교과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의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요구가 반영된 기악실기 교과와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기악 교과에 대한 요구도 내용분석 결과, 기악실기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경기도 K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진행된 ‘보육·교육실습을 위한 동요 반주법’, ‘신나는 음악놀이’, ‘나도 피아니스트‘의 3개 비교과 운영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에 대한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사례 프로그램 평가와, 예비유아교사들의 요구의 내용분석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분석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요구 결과와 기악실기 교육과정 실태 결과에 있어서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의 공통점은 다양한 악기연주 기술 습득, 동요 반주능력 향상이었다. 개발된 교과·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에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선호하는 음악장르와, 악기 연주, 기악합주, 악기동화의 교육내용과 기악 실기 워크숍, 음악 놀이 워크숍, 자기 동영상 연주의 마이크로티칭 분석의 교수학습방법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inked program between an instrumental practice curriculum and an extra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ase study. I analyzed the content analysis of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nstrumental practice curriculum, questionnaire survey result on status of instrumental practice curriculum, the case of three extracurriculuar programs of K university in Kyonggi-do(providence) including accompaniment of children s song, exciting music play , and I am also a pianist . Statistical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of inquiry items, the evaluation of the case program,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performe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the content analysis of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questionnaire survey result commonly include various musical instrument playing skills and improvement of accompaniment abilities of children s song. Reflecting the needs of pre-nursery teachers, the preferred music genre, the teaching contents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 instrumental ensemble, and musical fairytal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instrumental workshops, music play workshops and microteaching analysis of self-playing video were included in the developed extracurricular program.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