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탐구
Curriculum Framework Exploration for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lignment
- 이지은(Jieun Yi) 박진령(Jinryoung Park)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7호
- 2019.07
- 225 - 235 (11 pages)
교육과정의 일치도는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각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라는 정책이 등장하였고 이를 계기로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분절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해 각 구성 요소를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참여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학생의 성장 과정 기록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5단계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과 평가를 실행, 학생부 기록을 한다면 엄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해져 교육과정 일치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Recently, the policy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Recording emerged with the focus of the city education office, as a result, in schools, the attention is grow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However,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n a segmental way. Thus, this is a challenge in implementing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each component is explored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curriculum framework. The researcher analyzed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s record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standards, student-participated classes,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tudent growth processes. Based on this, a five-step curriculum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o implement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alignment will be strengthened if the curriculum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development framework in addition that the classes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and student records are recorded at the same time.
1. 서론
2. 교육과정 일치도에 대한 교육과정적 논의
3.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향
4.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탐구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