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교사의 통합교과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Implementation in Integrated Subjects
- 이해란(Haeran Lee) 이경진(Kyoungjin Lee)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7호
- 2019.07
- 237 - 245 (9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실행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교과를 가르치는 특수교사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첫째, 발달 특성과 교육적 요구의 격차가 큰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학년군 단위의 성취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실제 삶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주제와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맞지 않는 교과서 내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행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와 같은 교사 간 협력 체제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하여 향후 통합교과의 보다 원활한 실행에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성취기준의 목록화, 대주제와 소주제의 정련화, 이를 토대로 한 교과서의 수정, 교사 간 협력이 가능한 학교 문화 구축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To this end, three special teachers who teach integrated subjects at special schools were examined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narrative inquiry method. Firs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teachers had difficulty in applying the grade - level achievement standard equally to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a large gap betwee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ents of textbooks that do not reflect the actual life of the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students. Third, we saw that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ays a major role in restructuring and executing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real life thr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catalog the achievement standards, to refine the mainstream and small scale programs that reflect the context of actual life, and to revise the textbooks based on them. In addition, by establishing a school culture focused on curriculum,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centering on the student s learning and discuss and cooperate with the class.
1. 서론
2. 연구방법 및 과정
3. 특수교사들의 통합교과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이야기
4.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