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664.jpg
학술저널

Citespace을 통한 중국 교사교육 연구 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CSSCI(2008~2018년) 게제 논문을 중심으로 -

Bibliometric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Teacher Education in China by Using Citespace - focused on CSSCI Thesis(2008~2018) -

  • 396

본 연구는 중국 교사교육 연구 동향을 파악한 것이며, CSSCI 학술지 등재논문(2008~2018)에서 추출된 제목, 저자, 연구기관, 키워드, 요약을 중심으로 Citespace를 활용하여 공저자 분석, 공 연구기관 분석, 키워드 출현빈도와 중심도 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기관이나 학자들 간의 협력은 활발하지만 여전히 부족하고, 타 기관과의 협력이 더욱 드물다. 유명한 연구 기관이나 학자들 간의 활발한 협력보다는 지명도가 높지 않는 기관이나 학자들의 연구가 적게 보인 것은 유감이다. 둘째, 교사교육 관련 연구가 교사 양성, 교사 전문성 발전, 교사진 질 높이기, 사범대학교 교육개혁, 비교교육 등 영역에 집중되어 있어 이론적 연구, 다시각적 연구, 학제적 연구, 심도 있는 국제연구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학자들이나 연구 기관 간의 공동연구와 협력이 활성화되어 있는 연구를 많이 격려하여야 하며, 다시각적, 학제적인 연구나 기본적이지만 큰 보람을 가진 이론연구에 관해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비교연구를 심화해야 할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보다 다른 나라의 교사교육 연구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n order to get hold of the trend of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China, we chose CSSCI journals(2008-2018)> which are the most influential in the filed of education research in China, as the analysis objects and analyzed research status and hot issue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through Cite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ly, it’s regrettable that cooperation between famous research institutions and scholars is relatively more active than obscure institutions and scholars, interagency study is worthy of encouragement. Secondly, since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focuses o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quality of teaching staff, education reform at normal universities, comparative education and others, it is difficult to see theoretica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n-depth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ollaboration among scholar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to keep an eye on interagency research or basic but rewarding theoretical research. And we should not only develop comparative studies, but also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eacher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rather than U.S.A. and UK.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