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장애인의 역량강화 방안
Minority Disabled’s Empowerment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9권 7호
-
2019.07697 - 706 (10 pages)
- 281

우리나라의 장애유형은 1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소수장애인은 장애유형 중 그 빈도가 가장 낮아 본인들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장애유형과 다수를 점하는 장애유형에 속하고는 있지만, 장애특성이 상이하여 특별한 접근이 필요한 장애상태의 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소수 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 필요한 내용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수 장애인 집단은 장애대중에 비하여 그 빈도와 비율에서 소수를 차지하고 있는 8개 유형의 언어, 자폐성, 심장, 호흡기, 간, 뇌전증, 장루·요루, 안면 장애 등으로 우선 구분하고 이 구분에서 벗어나 있지만 드러난 장애유형의 특성상 반드시 다루어야할 장애영역인 저신장 장애와 근육장애를 포함시켜 10개의 장애를 소수장애인으로 구분하였다. 임파워먼트란 스스로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의미하는데 장애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장애인에 대한 이미지 향상과 능력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소수 장애인 집단을 대상으로 역량강화 과정을 적용하는 것을 검토할 때 가장 시급한 것은 권리적 장애정체성을 수용하고 자기인식을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또한 소수 장애집단의 구성원들이 확신한 자기인식을 한 후 이들의 조직과 또는 집단화 과정을 돕는 것이 이차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are 15 types of disability. Since minority disabled is the least frequent type, they cannot express their voice but they belong to a type of disability that holds a majority. We define disabilities who need special approach for the different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it presents necessary contents for monority disabled’s empowerment. Not only the group of minority disabled is divided into 8 types that occupy a monority in frequency and ratio comppared to the general disabled people, such as language, autistic, heart, respiratory, liver, epilepsy, intestinal and urinary, facial disorders, but we, also, include the exposed types of disability such as short-stature disorder and muscle disorder. Empowerment means control over your own life. So,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social ro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trengthening image enhancement and ab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mportant. The research treats problems of monority disabled and the desire raised, and suggests intervention plan to strengthen the empowermen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