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일상의 변화와 교육적 의미 탐구 - <문화예술교육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a daily life through Art & Cultural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 centered on <Theories of Art & Cultural Education> clas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학습자들의 일상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교육론> 수업에 참여한 수강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학습이 지식이해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부분에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학습자 개개인에게 정서적 풍요로움과 내적 성장을 가져다주었다. 학습자들은 과거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며 현재의 자신을 성찰하였고, 공동체 안에서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마주하며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 경험을 통한 유연한 사고와 열린 마음은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켜주었고 민감성을 회복하여 일상의 예술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하였다. 공동체 안에서 ‘하나의 경험’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학습자들의 관심을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공동체, 사회로 확장시켰고, 이는 사회적 책무성과 그에 따른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사들의 미적 소양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학교 안팎에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둘째, ‘하나의 경험’으로서 학습될 수 있도록 공동체 단위의 실천적 문화예술교육이 많이 장려되길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a daily life through Art & Cultural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individual learners in Art & Cultural Education program experienced emotional abundance and inner. They recalled their past selves and reflected on their present selves, which allowed them to expand their thinking by facing variou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in a community. Flexible thinking and open mindedness based on art & cultural education enlarged the understanding of others, restored the sensitiveness of daily life, and realized art of daily life with an attitude of wide-awakeness. Moreover, the practices of community as ‘an experience allowed the learners interest to be extended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ir surroundings, communities, and society, thereby leading to social accountability and the relevant practices. Also, realizing art of daily life is intertwined with the attitudes and quality of life of the learners, and further extends its influences to communities and society as a whole. The suggestions for art & cultural education’s orientations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both inside and outside school to foster the aesthetic sense of teachers. Second, practical art & cultural education at a community level should be encouraged so it can be learned as an experience rather than function and knowledg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