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그림책을 통한 독서교육 실태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Reading Education with Picture Books

  • 5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영․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통한 독서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그림책 독서 교육 계획, 실시 현황, 후속활동에 대한 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그림책 독서 교육 계획 시 읽기 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교육과정 지도자료집을 활용하였고, 그림책은 어린이집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림책은 생활주제에 따라 주로 선정하였다. 둘째, 그림책 독서 교육 실시 현황은 주 5회 각 10분 정도 소요하며, 주로 소집단으로 자유선택활동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림책 읽기 전 주로 이야기 제목과 표지에 대해 이야기하며, 상호작용은 대체로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셋째, 그림책 읽기 후속활동은 실시하지 않는 경우보다 실시하는 쪽이 뚜렷하게 많았고, 주로 그리거나 만들기,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영․유아의 그림책을 통한 다양한 독서교육이 효과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어떻게 교사 교육해야 할지에 대한 내용과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how childcare teachers lead reading education with picture books to infa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targeting 171 childcare teachers was carried out. This survey includes questions regarding a plan for picture book reading education, status of reading education, and follow-up activities. The Rerult of the survey were as follow; First, most childcar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consider contents of reading above all to plan reading education then refer to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Picture books in daycare center are mainly used for reading education and they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opics about life. Second, childcare teachers normally spend about 10mins for picture books reading education a day and the education is conducted 5 times a week. This activity was mainly progressed in small group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Before reading picture books, teachers and children discuss about title and cover of the picture books actively. Third, it was very clear that most teachers conducted follow-ups. The follow-up activities include drawing, craft, and story-telling. The consequence of this research wais relevant because it provides basis of 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to improve picture book reading education more effective and active.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