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795.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적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음악교수학습 및 평가에 관한 소고 -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문화예술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usical Culture and Discourse on the Program at School - Focus on Cultural School Music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 65

미래 문화에 적응 할 수 있는 능력은 문화의 맥락에서 음악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문화의 맥락에서 미적 전통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문화예술 문식성과 같은 학습능력이며, 문화 공동체 안에서 함께 음악을 경험하는 가운데 함양할 수 있는 보편적인 능력이다. 이와 같은 음향적 담화는 교수학습영역에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음악적 소통도구로서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이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담화 형태의 문화영역에서 음악교수학습의 개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평가예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음악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 문식성 계발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변화에 적응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문화 영역의 범위에서 문화적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문화적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문화 문식성 계발을 학습요소로 두고, 1-10차시의 교수학습 및 평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음악학습을 통하여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더욱 함양하여 미래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미래형 인재양성에 기여를 기대 할 수 있다.

Understanding music culture with performance activities in music, will be individually based competences, cultural competencies congruent with interacting in the positive future for students’communities. Transferable literacy into musical culture, it is associated with the cognitive realm in learning process through mobilizing a range of mental prerequisites for students’communities. The music cultural education in Korea, students have provided insight into students’competencies, instead of functioning as a ranking tool that is based solely on results and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As students, an evaluation method should be implemented as ‘assessment for learning’ to understand students’ achievement levels and also as a tool how much cumulating students’competences in a way of learning process. The musical discourse reflected in their communique with competencies understand to cover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value with the context of their socio-cultural milieu, through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Music learning becomes engaging with cultural discourse in a network of conversation as a musical discourse. In this way, life long competences are learned cumulatively into the cultural community in music and that it exists on a continuu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open cultural communication in music literacy through musical discourse. For developing the draft cultural communication in music literacy, this paper carried out a cultural literacy learning process of 1-10 lessons in the music curriculum framework, which focuses on improving cultural competencies through musical discourse. And also, this paper carried out evaluation of cultural literacy in music, which this study is trying to suggest, is developing formative assessment as a method of evaluation – like a performance assessment - that provides quantized score by each contents of instruction in order to give detailed feedback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altogether. In this reason that a cultural literacy and learning music is needed for anyone hoping to grow up as a future leader in our value-added and knowledge-based society.

I. 서론

II. 문화적 담화와 음악

III.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IV.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