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은 공유된 문화와 정서를 경험하는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인지와 학습이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루진다고 본다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은 그 사회의 문화가 개인에게 체화되는 방식을 가늠 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특히 가족의 식사는 같은 공간에서 함께 먹는 행위를 통하여 가족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고 그들만의 가치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가족의 상호작용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가족의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섯 가족의 식사의례를 통하여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학습과 문화인지 과정을 맑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가족의 식탁의례는 각 가족의 사회환경군에 따라 독특한 스타일의 차이를 보였고 또한 공통적으로 Van Gennep의 통과의례 3단계에 따라 분석 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분리단계에서는 가장(家長) 위주의 전통적 가치와 자녀중심의 현대적 가치가 공존하였고 전이단계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가치가 아버지로부터 서서히 변화하는 모습과 이를 자녀들이 학습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통합단계에서는 유교적 전통인 상물림 관습이 수저물림으로 변형되어 전수되고 있었으며 같은 그릇을 공유하고 매운맛을 즐기는 맛과 문화의 전수, 건강과 미에 대한 가치의 공유 등 가족이 진정한 식구(食口)로 거듭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가족의 식탁은 함께 먹고 함께 대화하는 일상의 연행을 통해 자연스러운 무형식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나아가 한국적인 가치와 규칙들이 문화적으로 학습되는 장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Family can be the most fundamental unit of society that people experience shared culture and emotion. If considering humane perception and learning are fulfill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xamination of interaction conducted in family is the method to guess a way that the culture of society is embodied to each person. Particularly, meals of family can be a representative rite of family, strengthening the unity of family community through the behavior eating together in same space and showing interaction of family well as a space that they share their own val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aily learning and cultural recognition process through the dining table rite of five families. As the result, dining table rites of Korean families showed unique differences of style by social environment group of each family and they can be commonly analyzed by 3 stages of van Gennep s passage rites. Concretely, breadwinner(家長) oriented traditional value and children oriented modern value were coexisted at separation stage. And, the traditional value was slowly changed from fathers and it was learned by their children at transition stage. Finally, at combination stage, dinning order from seniors to juniors, a confucian tradition, was changed and transferred to spoons/chopsticks order from seniors to juniors. And, there were transfer of taste enjoying hot taste and culture sharing same dishes, sharing of values on health and beauty, etc, so family became true Sikgu(食口- eating foods with their mouth).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natural and informal learning is conducted through the daily performance of eating and communicating together in dining table of Korean families and furthermore, it is the place that they learn Korean values and norms culturally.
Ⅰ. 서론
Ⅱ. 가족의 의례, 연행성 그리고 상호작용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