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42.jpg
KCI등재 학술저널

예술교육의 기초를 위한 보편적 예술성 발달 모델

Structuring a development model of general artistic qualities

  • 45

예술교육에 있어서 예술성 발달은 마땅히 중시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주지주의 영역의 발달 관련 연구에 비해 충분하다고 볼 수 없으며, 예술성 발달을 주제로 하는 연구의 경우에도 대부분 음악이나 미술, 무용 등 개별 예술 영역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예술성의 존재 및 발달 특징을 규명하여 보편적 예술성의 발달 단계 모델을 구안함으로써 예술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뜻을 두었다. 전 예술 분야에 걸친 상징적 사고 양식으로서의 예술적 인지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무용 분야의 제 발달 관련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보편적 예술성의 발달 모델이 구안되었다. 첫째 전인지기(0~2세)는 인지적으로 아직 발달하지 않은 시기이므로 예술 전반에 있어서도 특정한 상징적 사고양식이라고 할 만한 것은 없지만, 유아의 신체적 행위가 타 영역의 발달과 관련된다. 둘째 개략적 개념 사용기(2~5세)에는 아동의 미술, 음악, 무용에 있어서 예술적 사고 양식의 특징은 총체적 또는 개략적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도식기(5~8세)에 속하는 아동들은 자신들이 성장한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해당 문화권의 예술적 관습 또는 규칙체계에 일치하는 도식을 사용한다. 아울러 전인지기로부터 시작된 음악과 무용의 관련이 지속되어 더 뚜렷해진다는 것이다. 넷째 예술 관습적 상징 숙달기(8~15세)에는 미술, 음악, 무용 분야 공통적으로 청소년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 또는 관습의 사용이 보편적이 되고 이를 풍부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섯째 다관점기(15세 이상)의 청소년들은 이전 단계의 관습적 사고에서 더 나아가,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으로도 볼 수 있게 됨으로서, 예술적 인지 발달 상 가장 상위 단계의 사고양식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술성에는 개별 예술 분야에 국한된 것 뿐 아니라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예술성이 존재 가능하고 각 발달단계별로 특징적인 상징적 사고양식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술교육의 기초로서 향후 예술 교과목의 교육과정 구성과 교수학습 지도 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는 동시에, 예술성 발달 관련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통섭적 시각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Until now most studies on aesthetic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in specific artistic domain, so to speak, in the fine arts, music, dance, and etc.. Arts, in any domains, can be said a symbolic system that develops along with human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gure out if the general artistic qualities which incorporate all artistic domains exist, find out phas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 development model of general artistic qua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mentioned above, studies related to artistic development in fine arts, music, and dance were reviewed based on Hargreaves and Galton s aesthetic development theory focused on aesthetic cognition. They have proposed five phases of artistic development as the development of general aesthetic qualities. Literatures related to aesthetic developments in fine arts, music, dance were reviewed and examined from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viewpoint. As a result, the general aesthetic qualities and the phase specific modes of symbolic thinking were found, and artistic development model has been structured; precognitive phase(0~2 years), outline representation phase(2~5 years), the schematic phase(5~8 years), customary symbol phase, diverse views phase(15~+ years).

Ⅰ. 서론

Ⅱ. 예술성 발달에 대한 고찰과 예술성 발달 모델 구안 기준

Ⅲ. 음악 미술 무용의 발달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