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미술 사례를 통해 미적소통매체로서 공공미술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 향후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미술에 대한 기초적 고찰을 행하고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미술교과서에서 공공미술과 관련된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산의 ‘산복도로 1번지 프로젝트’와 광주의 ‘시화가 있는 문화마을’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례 조사를 통해 미적소통매체로서 공공미술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미술의 역할은 1) 지역의 예술문화환경을 개선하고, 2) 대중에게 공동체간 소통공간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며, 3) 대중에게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자긍심과 문화자원을 재발견․개발해 갈 수 있는 예술적․창의적 영감을 부여하며, 4)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문화적 삶의 질적 향상과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방향은 첫째, 대중과의 교감과 창의성을 고양시키는 유쾌한 발상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 정신, 둘째, 인종과 편견을 뛰어 넘는 글로벌 예술사고 및 다양한 표현방식, 셋째, 박애정신에 기초한 모든 생명과의 조화와 균형, 그리고 넷째, 미술문화를 주위와 함께 즐기고 향유하는 공감대 형성과 미래지향적 변화에의 포용력 등을 교수․학습(teaching & learning)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vestigating the role of public art through a case study on the public art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For this research, the basic study on the public art is activated with scoping members of public art on the art textbook for elementary student. Also the role of public art as an aesthetic communication tool through a case study of Sanbok road project in Busan and cultural village with poetry and painting in Gwangju.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role of public art are, 1) to improve an artistic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mmunity 2) to maximize an activation of communicating space for public, 3) to feel pride and rediscover regional resources of culture to public, to contribute the artistic, creative inspiration, 4) to investigate a positive change and growing participation with ascent of qualification for resident s cultural life. Theref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 public should be preceded , 1) pleasant idea boosting communion and creativity, challenging for newness, 2) global artistic thinking beyond race and any prejudice, 3) harmony and balance of every life rooted in benevolent spirit, 4) teaching and learning bond of sympathy for sharing culture of art with pleasure and broad-mindedness towards the forward-looking change.
Ⅰ. 서론
Ⅱ. 공공미술의 경과
Ⅲ.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 연계단원
Ⅵ. 미적 소통의 매체로서의 공공미술
Ⅴ. 지역 공공미술 사례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