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교육의 담론과 실천을 위한 교육학적 분석 모형 탐구

Research on educational analysis model for discourse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 19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다문화교육 담론도 확산되어 가고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담론들은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가족학, 사회복지학,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에서 논의되고 있다. 지금의 시점에서 중요한 점은 다문화교육에 대해 홍수와 같이 밀려오는 입장과 시각들을 여러 학문의 관점에서 정리하여 그 차이와 방향성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교육학에서는 지금까지 철학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보다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적용이라는 응용적인 부분을 더 많이 중요시하고 논의되어 왔다. 교육방법의 설계와 적용을 위해서는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적인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교육학적 접근시각의 독자성을 언급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울리히 벡의 지적대로 개인화의 위험에 직면에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자율성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애사적 재구성을 통한 경험의 확장이라는 교육학적 접근 모형은 다문화교육에 있어 새로운 접근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타학문에서 논의하는 다문화교육과는 다른 학습자 주체의 성장이라는 점에 초점을 두게 된다.

Discussion on multi-cultural society have recently gained interests, so as dis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Dis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discus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sociology, psychology, social walfare, pedagogy, etc. It will be very useful research to organize multiple positions and standpoi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by each field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orientations. Pedagogy have focused on application aspects such as educational courses and methodology rather than philosophy and orientation. Since discussion on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s are prerequisite of desigin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it would be meaningful to mention about philosophy and orientation in pedagogy. As U. Beck pointed, private autonomy is crucial aspect in modern society where the danger of Individualisation is faced. Therefore educational model which look into expansion of experience through biographical reconstruction can provide new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in difference of this paper from other research is to focus on the growth of leaner subjectivity.

Ⅰ. 들어가는 말

Ⅱ. 다문화교육 담론과 실천의 분석을 위한 학문적 접근

Ⅲ.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의 관점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