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47.jpg
KCI등재 학술저널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학습

Looking museum through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 85

박물관은 앞선 세대의 체험적 기억을 현 세대에게 문화적 기억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개념은 핵심적인 과제일 수 밖에 없다. 박물관은 그 자체로 전시와 교육과 같은 매체(medium)를 필요로 하며 이를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의 문제가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과제는 비고츠키와 여러 이론가들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발전시킨 활동이론에 의해 잘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Y. Engeström에 의해 발전된 제3세대 활동이론은 사회속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전달자로서의 박물관과 박물관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이론체계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사회활동시스템 속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 내에서의 활동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을 박물관 내부 활동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실천, 박물관과 지역의 예술장(藝術場)이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과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된 네트워크 실천 모형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려 한다.

Museum is a medium which communicates with previous generation s experiential memories and present generation s cultural memorie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is a core task in museum. Museum needs mediums like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we have to discuss how to structuralize these things. The museum communicati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he CHAT has been developed by several theorists like Vygotsky. Especially, the third generation s CHAT has been developing by Engeström. It is a worthy theoretical structure that can show museum as a messenger of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its communication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HAT and analyzes museum in a social activity system and activity system in a museum from micro/macro-scopic view. Also, it produces practical models that connect museum with community art field and museum with schools.

Ⅰ. 박물관과 커뮤니케이션, 학습

Ⅱ. 박물관 커뮤니케이션의 분석틀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Ⅲ.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박물관활동시스템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