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49.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Development on Multicultural Competency Component and Assessment Tool - Focused on Lifelong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90

사회의 다문화과정 추세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고 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다문화교육프로그램들은 제한된 교육대상자, 획일적 교육프로그램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의미있는 다문화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을 역량중심으로 이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다문화역량은 직업기초역량을 비롯하여 생애핵심역량에서도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다. 다문화사회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족구성원 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핵심역량과 직업기초능력개발을 위한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역량기반 교육프로그램의 준거가 될 수 있는 다문화역량 측정도구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반시민의 생애핵심역량으로써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17개의 하위구성요소로 구성된 총 3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다문화역량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문화역량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시민 간의 인식 차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앞으로 대상별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다문화역량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Multiculture is being generalized. Educa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y is important component in core competency on lifetime. However, it has had problems like limited education target and standardized problems. So, we have to need core competency based the education programs to Korean people. Therefore it accompany with development on multicultural competency assessment. So, this research performed development on multicultural competency assessment as life core competency to Korean citizen. As a result, it is consisted 3 components, 17 subcomponents, 31 questions. And it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lso, the result of research has a arguable issue that different cognition in multicultural competency between experts group and citizen group. At the end, research of multicultural competency assessment will have to develop concerning target characteristic.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