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 초․중등 예능교과 교사들의 교류분석을 중심으로 자아상태별 교수행동특성을 밝혀봄으로써 담당 교과의 교수역량 최적화에 관한 현주소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문제를 일반학교 초․중등 예능교사의 자아상태에 따른 교수행동특성이 무엇인가? 로 정한 후 2009년 7월 28일부터 2011년 1월 7일 까지 초 중등 교원직무연수에 참가한 예능교사 140명을 대상으로 Eric Bern의 교류분석 중 Dusay(1977)가 개발한 ECL(Ego-gram Check List)측정도구를 사용해서 진단을 실시하였다. 진단결과 예능교과 담당교사의 자아상태분석값은 A(성인형) 자아상태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NP(양육적 어버이형)값이 두 번째로 높았으며(M=33.50), AC(순응하는 어린이형)값과 CP(비판적 어버이형)값은 각각 30.66점과 30.08점으로 전체 평균(M=30.802)정도에 근접해 있었다. 이에 반해 FC(자유스러운 어린이형)의 값이 가장 낮게 제시되었으며 표준편차 또한 두 번째로 낮게 나타났다(M=24.18 SD=6.969). 비 예능담당교사의 교류분석에서는 NP(헌신·양육형) 자아상태값(M=33.05)이 가장 높았으며 CP(비판적인 어버이형)의 값(M=26.85)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능교과 담당교사들이 학습의 동인․동기유발, 촉진․강화, 조직‧조정관리, 피드백․평가와 같은 교수활동영역에 있어 객관적, 합리적, 이성적, 논리적, 현실적, 진단적, 사실적, 분석적, 기계적, 타산적, 무감정적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나 정보수집능력과 합리적 의사결정 중심의 교수행동특성을 보인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직관중심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예능교과의 교수행동특성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교과특성에 적합한 교사의 교수행동수정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ing behavior characters of aesthetics education in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the most suitable conditions for teaching-competency. In considering teaching styles, it may be useful to start out by examining ego-state of transaction analysis by Eric Bern. This result brings about a sharp contrast between art education s teachers and non-art education s teachers that suggest the ego-state values. In case art teachers, while the adult style showed the most high value(M= 35.59), the free child style presented the low value(M= 24.18). As for study itself, it seem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is devoid of the free-child style value and is beyond the adult style value on teacher s behavior characters. Some more exactly, these are too much values in exhibiting a tendency to objective, rational, reasoning, practical, realistic, exploratory, analytic, mechanical, computational, coldhearted and too less values in showing a tendency to intuitional, creative, active, self-easiness, pleasure-seeking, voluntary, expressive, open, optimistic, instinctive, passionate, impulsive, fanciful, permissivist. In this regard, we should remember to increasing the fertile mind and behavior concerned on intuition.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well-fitted teaching behavior characters to aesthetic educators. Consequently, we need to retraining course which is revised upward appropriate teaching competency on art education for cultivating aesthetic s experience. Teaching behavior characters s study on aesthetic education calls for further investig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