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53.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 전시와 학교교육과정을 연계한 지역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Local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in relation to the Museum Exhibition and Process of School Education

  • 86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의 중요성은 학교교육과정의 변화와 직업 활동 간의 변화, 그리고 체험사회의 대두라는 문화적 변화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 학교교육과 평생교육은 대체로 학교교육이 문화적 지식의 전달에 초점을 두며 성인교육이 성인학습자들의 생애사에 기초한 경험 지향적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두 영역간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과정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유사성과 연관성이 많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박물관교육은 단순히 학교교육의 일상에서 벗어난 나들이에서 벗어나 학습전이(學習轉移)와 경험과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연계될 필요가 있다. 박물관에서의 교육은 학교교육과정과 박물관의 전시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연계될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기존의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의 주도하에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지만 본 연구는 기존의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실천이 학교교육과정과 박물관전시와의 밀접한 상호연관성의 분석에 기초하여 경험과 소통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사례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교교육과정과 지역사회의 박물관전시를 연계하여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의 확산을 가능하게 한다.

The importance of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society is once again emphasized through the cultural changes in school education process, work hours and social experience syste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s that the school education focuses on delivering the knowledge where as the adult education focuses on the life based experience-favoured characteristics. But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areas of education, both hold many similarities and relativities. The Museum education targeted at the students draws away from the simple school eudcation and is necessary to be related to the aspects of education process and program. The education at the museum is a good example of relating the school education process and the museum s production and exhibition and educational insight in the aspect of education method. The normal museum education programs are stoppe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within the system of the school education process. This research provides a new case based on the close counter relationship between school education process and museum exhibition to the action of the original museu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llows the possible diffusion of the new model, able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uture school education process and the museum exhibition of the local society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Ⅲ 복천박물관 . 교육프로그램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Ⅳ.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