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재림교회 장례문화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Funeral Culture of Korean SDA Church

  • 16

보통 장례문화는 사람이 죽은 후에 어떠한 장례의 방식을 선택할 것인지와 무덤의 형태가 어떠한 것인지를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는데 현대에 이르러 장례문화에 많은 변화가 오고 있다. 장례의 대표적인 방식인 매장과 화장 중에서 화장을 선택하는 비율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이 전 세계적인 추세로 나타나고 있고 한국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기독교 안에서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바람직한 기독교 장례문화의 정립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있어 왔다. 또한 장례의 방식에 있어서 화장이 과연 기독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도 뜨거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 장례방식인 매장과 화장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살펴보고 과연 교회 안에서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를 논의했다. 이를 위해 먼저는 교회사 속에 나타난 장례예식의 모습을 살펴보았고 매장과 화장에 대한 주장들을 각각 살펴본 후에 이에 대한 재림교회의 입장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했다.

Usually, funeral culture includes both the way a person chooses a funeral after death and the form of a tomb. There is a worldwide trend that shows a steady rise in the ratio of choosing cremation among burials and cremation, and Korea is no excep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has been a study and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Christian funeral culture based on the Bible in Korean Christianity. There was also a heated debate over whether the cremation could be accepted as the method of funerals in the church. Therefore, the study looked at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burial and cremation, two typical methods of funeral, and discussed how the church can accept it.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funeral ceremonies that appeared in the church history, looked at each of the claims of the burial and cremation, and proposed the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e church.

Ⅰ. 서론

Ⅱ. 교회 역사 속에 나타난 장례예식

1. 초기 기독교시대

2. 중세 기독교시대

3. 종교개혁 시대

4. 근대 이후

Ⅲ. 매장과 화장에 대한 성경적 이해

1. 매장만이 성경적이라는 입장

2. 화장도 가능하다는 입장

Ⅳ. 장례 방식에 대한 재림교회의 입장과 방향

1. 사회적 인식의 변화

2. 재림교회의 장례방식에 대한 입장

3. 재림교회 장례문화에 대한 방향 제안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