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성 비판을 겨냥한 니체의 교육철학은 문화진단의 성격을 갖고 교육의 전문화, 직업화 그리고 교육을 대체하는 대중문화의 확대를 경계하고 있다. 근대 문화가 cultura의 전통적 의미를 계승해 자연의 완성과 인간의 성숙을 목표로 한다는데 비판적인 니체는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문화가 동물을 길들이는 잔인한 사육이며 교육도 맹수의 훈육과 훈련의 과정으로 변질된다고 지적한다. 니체의 철학적 인간학은 ‘미확정성’, ‘중간존재’, ‘기억’ 세 가지로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본질을 정의하고 있다. 교육은 이러한 인간의 종차를 확대하고 발전시키는 쪽으로 진행되어야 하는데, 근대 교육은 오히려 ‘약하고 병든 동물’을 생산해내는 동물원의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국가가 주도하는 대중교육과 일반교육이 보편화되는 것에 반대하는 니체는 천재교육을 내세워 개인의 재능을 극대화하려는 귀족주의 입장을 편다.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아니라 소수 정예를 위한 집중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고귀함과 창조성 그리고 개별성을 지향하는 니체의 교육철학은 평준화와 교육서열화 등 한국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방향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Nietzsche’s Philosophy of education, that is oriented at the critics of the modernity, is occupied with the cultural diagnosis and the warning for the dangerous influence of education replacing the mass culture. Nietzsche polemizes that the modern culture receives the traditional meaning of cultura und aims at the completion of the nature and the maturation of the human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Darwin evolution theory Nietzsche try to define the Culture, the civilization as the breeding, painful domestication. In this aspect the function of education is identical with the discipline of beast. Nietzsche’s philosophical anthropology consists of three these, not-yet-determination, between-being, and promise-ability, by that human being distinguishs from animal. In principle die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the enlargement and development of such difference. But the system of modern Education is in fact a zoo, where the weak, sick animal is raised through discipline. With aversion to general education initiated by nation Nietzsche advocates the aristocratic idea, that the talented must selective and intensive be promoted. It is clear that the true purpose of education is not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but the creation of the genius. Nietzsche’s philosophy of education, that strives for nobleness,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gives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in Korea, the dilemma of leveling of student and hierarchic system of school, and presents a orientation for the future of education.
1. 들어가는 말
2. 교육의 문화철학적 근거 : 사육
3. 근대 교육제도 비판
4. 귀족주의 교육의 이상 : 천재양성
5.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