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66.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적 기억과 문화교육

Cultural Memory and Culture Education

  • 162

현재 기억담론이 인문학논의에서 강하게 회자되고 있다. 지금까지 기억담론은 주로 심리학의 영역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역사학과 문화 연구등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역사학에서는 역사라는 개념을 보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기억이, 문화연구에서는 현대사회가 처한 모든 것의 저장불가능성을 제시하며 문화적 기억의 위기가 논의되고 있다. 특히 어떻게 문화적 기억을 구성하고 전달해야 하는 가의 논의를 거쳐야 하는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은 문화적 기억의 구조변화와 문화적 기억을 놓고 벌이는 정치적 논의속에서 방향성을 잡아야 하는 책무성에 놓여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얀 아스만의 논의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와는 달리 알라이다 아스만은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기억의 위기를 이야기한다. 문화적 기억은 크게 지식의 위기, 매체의 위기, 정체성의 위기로 요약된다. 현대사회의 변화를 통해 문화적 기억과 관련하여 교육은 향후 개인화, 하위문화로의 이동이라는 특성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Much attention has recently been paid on memory discourse in the area of arts and humanities. Memory discourse has long been discussed under the context of psychology. Then it now appears to be a main concern of the area of history and cultural research. In historical studies, the concept of memory has been introduced to replace the concept of history. A crisis of cultural memory starts being discussed in cultural research as a modern society faces on its incapability of storage.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ere a discussion of how to construct and convey cultural memory needs to be done, a legitimate direction should be taken amid political discourses concerning a structural change of cultural memory. In this respect, J. Assmann provides a lot of implication. Alaida Assmann, however, deals with a crisis of cultural memory that a modern society is going through. A crisis of cultural memory consists of three parts; a crisis of knowledge, a crisis of media, and a crisis of identity. As a society changes, the education regarding cultural memory will be characterized by its orientation toward individualization and subculture.

1. 들어가는 말 : 문화적 기억은 왜 교육학의 탐구대상인가?

2. 문화적 기억

3. 문화적 기억의 위기

4. 문화적 기억의 위기와 교육의 과제

5. 나가는 말 : 문화적 기억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의 가능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