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적 매체로서의 박물관 전시와 의미생성

Museum Exhibition as an Educational Medium and its Meaning-Making

  • 273

이 논문에서는 박물관의 중심적인 교육 매체인 전시가 의미 소통의 기제임을 규명하고, 소통의 목적인 의미 의 다충적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의 전시가 전시 기획자의 의도를 관람자에게 전달하는 전통적인 형태를 넘어 관람자의 해석과 가치를 적극적으로 담아냄으로써 열려진 개념의 의미 생성(meaning-makmg)을 지향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탐색하였다. 첫째, 관람자가 전시의 의미를 해석하고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전시에 적용하기 위해 박물관 실무자와 연구자들이 학습, 인지,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을 전시 개발 및 연구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관람자와 커뮤니티가 전시 개발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시개발 체제를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시각문화 접근에 따른 전시물의 범위 확장에 주목하고 다양한 유형의 전시물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관람자가 전시로부터 다양한 의미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전시 해석매체인 전시장 텍스트의 효과를 제고하고 해석의 개방성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seum exhibiti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dium. With the focus on the meaning which museum exhibitions make and convey, concepts of the mea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concepts of the meaning relevant in museum context, presented by Silverman. Museum exhibitions have traditionally been the medium which transmitted the intentions of curators to the visitors. More recently, however, concept of the meaning of exhibitions and the way museum communicate about them are changing. Each visitor or community supply another meaning by bringing their own interpretation and values to the encounter with the objects in a museum exhibition. Meaning-making came to refer the situation that visitors/communiti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interpretation of exhibitions. Thus, to explore the way that museum exhibitions could make more expanded and deeper meaning, four areas of strategies were proposed. First, museum professionals involved in exhibition development should recognize the educational aspects of exhibitions and try to incorporate leaning theories and communication theories in their exhibition development. Second, the system of exhibition development needs to change to assess and engage needs and values of diverse communities. Third, more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the utilization of representational objects to supplement the meaning of original and authentic objects in exhibitions. Finally, exhibition texts should be improved in their quality and content in order to engage visitors values and interests.

I. 서론

II. 전시와 의미

1. 전시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의미의 개념

2. 의미생성 (meaning-making)과 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

III. 의미생성을 위한 전시의 전략

1. 학습 매체로서의 전시에 대한 인식과 학습이론의 적용

2. 전시개발 체제의 새로운 모델 도입

3. 시각문화(visual culture)와 전시물(object)의 영역확장

4. 전시 해석 도구의 질적 개선과 해석의 개방성

I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