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68.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출과 퍼포먼스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Kunstpädagogik aus der Sicht der Inszenierung- und Performativitätstheorie

  • 139

최근에 연출과 연행 등의 개념들이 학문적인 무대에 등장하고 있다. 이 두 개념은 원래적으로는 연극학으로부터 비롯된 것인데 지금은 의례이론의 도움에 힘입어 문화과학의 핵심개념이 되었다. 공연과 연출에서의 신체적 현존성은 도야과정을 가능하게 하며, 연행성의 물질성은 교수-학습과정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신체성, 공간성, 음향성, 시간성 등은 학습주체의 교육적 과정을 위한 중요한 실체가 된다. 본 연구는 가르침과 상담하기와 같은 전통적인 교육적 개념을 확장하고자 한다. 교육학 연구는 미래에 연출과 공연과 같은 개념을 교육학적 범주 속에서 고찰해야 할 것이다.

In der jüngsten Zeit sind die Begriffe wie Inszenierung und Performativität zur wissenschaftlichen Bühen getreten. Die beiden Begriffe stammen ursprünglich aus der Theaterwissenschaft, aber sie sind jetzt mit Hilfe der Ritualtheorie die kulturwissenschaftlichen Kernbegriffe geworden. Das leibliche Ko-Präsenz der Ausführung und Inszenierung ermöglicht den Bildungprozess, und the Materialität der Performativität ist die Stoffe der Lehr-Lernprozess. Die Körperlichkeit, die Räumlichkeit, die Lautlichkeit und die Zeitlichkeit sind die wichtigen Substanzen für den pädagogischen Prozess des Lernsubjekts. In diser Studie wird die Erweiterung der trationellen pädagogischen Begriffe wie Unterricht und Beratung versucht. Die pädagogische Forschung soll darum bemühen, Inszenierung und Ausführung im Rahmen der pädagogischen Kategorie zu betrachten.

I. 왜 교육(학)에서 연행(演行)과 연출(演出)인가?

II. 연행성과 연출, 그리고 학습

1. 연행성(Performativität)과 공연(Aufführung) : 개념과 패러다임 전환

2. 연출과 의례, 그리고 맥락

3. 공연의 공동현존성(leibliche Ko-Präsenz) : 교수-학습 또는 도야의 과정?

4. 물질성(Materialität)의 연행적 생산 : 교수/학습의 소재?

III. 맺음말

1. 연행성과 학습 연구

2. 연행성·연출, 공간, 그리고 학습

3. 연행성, 연출, 체험 그리고 생애사

4. 예술교육의 문화적 해석과 맥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