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870.jpg
KCI등재 학술저널

철학에서 바라보는 문화교육

Cultural education gazed in philosophy

  • 274

문화교육에서 문화란 좁은 의미의 문화예술만이 아니라 신체적, 감성적, 윤리적 지적 복합능력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전승되는 삶의 방식이자 인간적 잠재력의 총체, 생명의 다양성에 따라 구현되는 인류학적 문화다양성 등 넓은 의미를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문화교육은 기존의 예체능 교육을 넘어선다. 그것은 지식, 인성, 예체능 교육의 관계를 재조직하여 인간능력의 역동적 복합성(문화적 리터러시)을 활성화하고, 파괴되고 있는 공동체적, 사회적 연대의 기초인 사회문화적 자원(민주적, 생태적 습성)을 재활용하려는 새로운 교육이다. 또한 문화교육을 한정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관점을 포괄한다. 첫째, 지식에의 안내와 문화유산의 감상, 현대문화생활에의 안내, 둘째, 문화가 확산되고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친숙화, 셋째, 문화유산들과 현대문화 간의 불가해한 연결과 동등한 존엄성의 인정, 넷째, 미적, 예술적 교육, 다섯째, 윤리적, 시민적 가치들의 훈련, 여섯째, 매체교육, 일곱째, 간문화적(intercultural)/다문화적(multicultural) 교육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문화교육의 다양한 목적 중에서 그 범위를 한정하여 먼저 문화의 개념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에서의 철학적 규정 및 장르 넘나들기, 미디어 영상문화교육, 문화다원주의와 관용의 문제들을 차례로 진단하고자 한다.

In order to define cultural education we first need to define the term culture. Raymond Williams calls culture one of the two or three complicated words in the Englisch language. What is culture? First of all, culture can be used to refer to the things to be made by people. Then, What are made in culture? They are meanings. So we call culture signifying practice. But lived culture is culture as lived and experienced by people in their day-to day existence in a particular space and at a particular moment time. The people who have full access to the culture are those who lived and are living its structure of feeling. Cultural education means common language, institution, custom, practices, and traditions -a shared way of life for people living within certain territorial boundaries which reaches across the full range of human activities. Access to such a culture provides persons with cultural identity, a sense of who they, and others they identify with, are and thus a framework of shared meanings, value, and projects sufficient for meaningful options and choices. On what model should a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work? We have argued that their model, based an set of common values, without any common rank order among these values, is the best one. To be sure, each citizen of a multi-cultural state does a feeling of community identity, a we ideology, but it is desirable that each individual can have more than one such identity.

I. 들어가는 말

1. 문화교육의 출발점

II. 문화의 개념

III.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1.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분류

2. 포스트모더니즘과 장르의 넘나들기

IV. 디지털 미디어의 영상문화

V. 문화다원주의와 관용

VI. 맺는 말

로딩중